맨위로가기

노 희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 희공은 춘추 시대 노나라의 군주로, 노 장공의 아들이자 노 민공의 형제이며, 노 문공의 아버지이다. 기원전 660년 즉위하여 33년간 재위하며 주변 국가들과의 외교 및 군사 활동을 펼쳤다. 제나라, 진나라 등과 동맹을 맺고, 주나라 및 주변 소국들과의 관계를 통해 노나라의 위상을 유지하려 노력했다. 기원전 627년 사망하고 아들 노 문공이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8세기 출생 - 헤시오도스
    헤시오도스는 기원전 8세기경 고대 그리스 시인으로, 『신통기』와 『일과 날』을 통해 신화, 우주론, 농업, 윤리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당대 사회상과 가치관을 반영했고, 농부이자 방랑 음유시인으로서의 삶과 경험을 작품에 녹여내 정의와 노동의 가치를 성찰하여 서구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기원전 8세기 출생 - 제 희공
    제 희공은 제나라의 제후로서 주변국과 우호 관계를 맺고, 송나라와 위나라 사이의 분쟁을 중재하며 북융의 침입을 격퇴하는 등 활발한 대외 활동을 펼쳤으나, 말년에 후계 구도에 혼란을 야기하다가 재위 33년 만에 사망했다.
  • 노나라의 군주 - 노 환공
    노 환공은 춘추 시대 노나라의 제16대 군주로, 혜공의 아들이며 은공의 섭정 후 즉위하여 18년간 재위했으나 제나라 방문 중 암살당했고, 그의 아들들은 훗날 노나라 권력을 장악한 삼환의 시조가 되었다.
  • 노나라의 군주 - 노 장공
    춘추 시대 노나라의 제16대 군주인 노 장공은 제나라와의 잦은 전쟁과 외교적 활동을 펼쳤으며, 제나라 내전 개입과 제 환공과의 화평을 통해 영토를 회복하기도 했으나, 후계자 선정 실패로 정치적 혼란을 야기했다.
노 희공
기본 정보
칭호
희 (姬)
이름신 (申)
시호희공 (僖公) 또는 희공 (釐公)
통치
국가
재위 기간기원전 659년 – 기원전 627년 11월 17일
계승 순서노 민공의 뒤를 이음
계승자노 문공
가문
가문희 (姬)
왕조
아버지노 장공
어머니성풍 (成風)
배우자미상
생애
사망일기원전 627년 11월 17일
기타
비고춘추좌씨전 희공 시대
관련 항목《노송·경》편과 주례의 관계 및 문화적 의미
노 희공
노 희공

2. 가계

노 희공의 아버지는 노 장공, 어머니는 성풍이다. 형제로는 형 공자 반과 아우 노 민공이 있으며, 아들은 노 문공이다.[6]

2. 1. 혈연

아버지노 장공
어머니성풍
공자 반
아우노 민공
아들노 문공

[6]

3. 생애

기원전 660년, 경보노 민공을 시해하자, 계우가 공자 신을 데리고 있다가 국내로 돌아와 신을 노후로 즉위시켰다.[5] 희공은 즉위 후 계우에게 비(費)와 문양(汶陽) 땅을 주고 재상으로 삼았다.[5]

희공은 재위 기간 동안 여러 제후국들과 외교 관계를 맺고 군사 활동을 펼쳤다. 기원전 656년에는 채나라를 침공하고, 제나라, 송나라 등 여러 나라와 연합하여 초나라를 공격했다.[3] 기원전 634년에는 제 효공의 침략을 받았으나, 외교적 노력을 통해 이를 해결하고 오히려 초나라의 지원을 받아 제나라를 공격하기도 했다.[3]

기원전 627년에 사망하였으며, 아들 흥이 뒤를 이었다.[5]

3. 1. 즉위 과정

기원전 660년 민공 2년, 경보가 민공을 시해하자, 계우가 공자 신을 데리고 있다가 국내로 돌아와 신을 노후로 즉위시켰다.[5]

노 희공(魯僖公)으로 알려지게 되는 신(申)은 노 장공과 인근의 서구(須句) 출신 첩, 성풍(成風)의 아들이었다. 기원전 662년 부친의 사망 후 그의 형제인 자반노 민공이 잇따라 즉위했지만, 두 사람은 모두 노나라 왕위를 탐낸 장공의 형제인 경부(慶父)에 의해 살해당했다. 장공의 또 다른 형제인 유(友)는 민공이 살해된 후 신을 데리고 주나라로 도망쳤다.

노나라 사람들은 경부의 연이은 살해 행위에 분노하여 그를 노나라에서 쫓아냈다. 경부는 인근의 거나라로 피신했다. 이후 유는 신과 함께 노나라로 돌아와 그를 왕위에 앉혔다. 얼마 지나지 않아 유는 거나라에 경부의 반환을 요구하며 뇌물을 지불했다. 경부는 미(密)라는 곳에 도착한 후, 친척인 어(魚)를 보내 용서를 구했으나 실패하고 울면서 경부에게 돌아갔다. 경부는 어의 울음소리를 듣고 자결했다.

3. 2. 치세

기원전 656년 봄, 희공은 채나라를 침공했고, 제나라, 송나라, 진나라, 위나라, 정나라, 허나라, 조나라가 연합하여 채나라를 패배시켰다.[3] 이후 연합군은 초나라를 공격했고, 초나라는 화평을 요청했다.[3] 같은 해 겨울, 태자 자(茲)가 이끄는 노나라 군대는 제, 송, 위, 정, 허, 조의 군대와 함께 진나라를 공격했다.[3]

기원전 655년, 희공은 송, 진, 위, 허, 조의 군주들과 주나라의 태자 정과 수지(首止)에서 만나 주 혜왕이 후계자로 선호했던 태자 대(帶)에 맞서 태자 정을 지지했다.[3] 정나라도 참석 예정이었으나 동맹을 거부했다.[3] 기원전 654년, 동맹은 정나라를 공격했고, 정나라의 동맹국인 초나라가 허나라를 포위하여 연합군은 후퇴했다.[3] 기원전 651년, 주 양왕이 즉위했고, 기원전 636년 반란을 일으킨 태자 대는 진나라 문공에게 살해되었다.[3]

기원전 639년, 주나라가 须句国|허구중국어를 정복하자 그 통치자는 노나라로 피난을 왔다.[3] 희공은 어머니 정풍(鄭風)의 설득으로 주나라를 공격하여 허구를 복원했다.[3] 희공은 주나라를 얕보고 방어하지 않았다가 기원전 638년 성형(升陘)에서 패하고 투구를 빼앗겼다.[3]

기원전 633년 봄, 기나라 공작이 노나라를 방문했을 때 "야만인의 의례"를 사용하자 희공은 불쾌하게 여겨 그해 가을 기나라를 공격했다.[3]

기원전 629년, 진나라 문공은 조나라 공공을 포로로 잡은 대가로 빼앗았던 사이의 영토를 노나라에 돌려주었고, 태자 수가 진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감사를 표했다.[3]

기원전 627년, 노나라는 두 번 주나라를 공격했다.[3] 첫 번째 공격은 여름에 희공이 직접 이끌어 12년 전 성형(升陘)에서의 패배를 복수하고 질루(訾婁)를 점령했다.[3] 두 번째 공격은 가을에 태자 수가 이끌었다.[3]

3. 2. 1. 제나라와의 관계

기원전 643년, 춘추오패 중 한 명이자 제나라 환공이 사망하자, 그의 여섯 아들 사이에서 계승 전쟁이 벌어졌다.[3] 두 달 간의 내분 끝에 태자 무궤가 왕위를 계승했으나, 태자 조(趙)는 송나라로 도망쳤다.[3] 기원전 642년, 송나라 양공은 태자 조를 제나라 왕위에 앉히기 위해 조, 위, 주(邾)의 군대와 함께 제나라를 침공했다.[3] 희공은 무궤를 지원하기 위해 군대를 보냈지만, 무궤는 연합군을 두려워한 제나라 백성들에게 살해되었다.[3] 결국 송 양공과 동맹국들이 반대 세력을 물리치고 태자 조(제나라 효공)를 새로운 군주로 세웠다.[3]

기원전 634년, 제나라 효공이 노나라를 공격했다.[3] 희공은 전시(展喜)를 보내 화평을 청했는데, 제나라 효공이 노나라 백성이 자신을 두려워하는지 묻자 전시는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3] 그는 주나라 성왕이 제나라 태공과 노나라 주공에게 내린 조약을 언급하며 후손들이 다투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3] 또한 제나라 환공이 약소국과의 동맹을 통해 주나라 왕실을 지원한 노력을 칭찬하며, 제나라 효공이 노나라를 공격하는 것은 패자의 역할을 포기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3] 제나라 효공은 이 말을 듣고 공격을 중단했다.[3] 이후 희공은 초나라에 지원을 요청하여 제나라를 공격하고 곡(穀)을 점령했다.[3]

3. 2. 2. 기타 외교 관계

기원전 656년, 희공은 채를 침공했고, 제, 송, 진, 위, 정, 허, 조가 연합했다. 채가 패배한 후, 이들 국가의 군대는 초를 공격했고, 초는 곧 화평을 모색했다.[3] 같은 해 겨울, 태자 자(茲)가 이끄는 노(魯) 군대는 제, 송, 위, 정, 허, 조의 군대와 함께 진을 공격했다.[3]

기원전 655년, 희공은 송, 진, 위, 허, 조의 군주들과 주(周)의 태자 정과 수지(首止)에서 만나, 주 혜왕이 후계자로 선호했던 태자 대(帶)에 맞서 그를 지지하려 했다.[3] 정공(鄭公)도 참석하기로 예정되었지만, 동맹을 거부했다.[3] 기원전 654년, 동맹은 배신에 대해 정을 공격했다.[3] 정의 동맹국이었던 초는 허를 포위했고, 연합군은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3] 태자 정은 태자로 남았고, 기원전 651년에 그의 아버지가 사망하자 왕위를 계승했다.[3] 기원전 636년에 반란을 일으킨 태자 대는 다음 해에 진 문공에 의해 살해되었다.[3]

기원전 643년, 제 환공(춘추 오패 중 한 명)이 사망하여 그의 여섯 아들 사이에서 계승 전쟁이 발발했다.[3] 두 달간의 초기 내분 끝에, 태자 무궤가 혼란 속에서 제의 왕위를 계승했고, 태자 조(趙)는 송으로 도망쳤다.[3] 기원전 642년, 송 양공은 태자 조를 제의 왕위에 앉히기 위해 조, 위, 주(邾)의 군대와 함께 제를 침공했다.[3] 희공은 무궤를 지원하기 위해 제에 군대를 보냈지만, 무궤는 연합군을 두려워한 제 백성들에게 살해되었다.[3] 송 양공과 그의 동맹국들은 모든 반대를 물리치고 태자 조 (제 효공)를 새로운 공작으로 만들었다.[3]

기원전 639년, 주(邾) 나라는 须句国중국어를 정복했는데, 그 통치자는 노에 피난을 요청했다.[3] 희공의 어머니 정풍(鄭風)은 그녀의 출신지인 허구(须句国)를 복원하도록 설득했다.[3] 다음 해 봄, 희공은 직접 군대를 이끌고 주를 공격하여 허구를 복원했다.[3]

기원전 634년, 제 효공이 노를 공격했다.[3] 희공은 전시(展喜)를 제 효공에게 보내 화평을 청했다.[3] 제 효공이 노 백성이 그를 두려워하는지 묻자, 전시(展喜)는 반대로 대답했다.[3] 그는 주 성왕이 제의 창시자 강태공과 노의 창시자 주공에게 내린 조약(그들의 후손들은 다투지 않아야 한다)을 상기시켰다.[3] 전시(展喜)는 제 환공이 약소 국가들과의 동맹 및 질서에 반항하는 국가에 대한 원정을 통해 주 왕조를 지원한 노력을 칭찬했다.[3] 전시(展喜)는 제 효공에게 노 백성들이 환공의 후계자인 그가 노를 공격함으로써 패자의 역할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에 제의 침략을 두려워하지 않는다고 상기시켰다.[3] 제 공작은 이 말을 듣고 공격을 중단했다.[3] 희공은 태자 수(遂, 희공의 형제, 동문양중(東門襄仲)으로도 알려짐)와 장문중을 초(楚)에 보내 지원을 요청하며, 제는 초에 복종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3] 이 요청은 성공적이었다.[3] 희공은 초 군대와 함께 제를 성공적으로 공격하여 곡(穀)을 점령했다.[3]

기원전 633년 봄, 기 공작(杞, 앞서 언급한 齊와 혼동하지 말 것)이 노 조정에 방문했다.[3] 그는 "야만인의 의례"를 사용했고, 희공은 불쾌하게 생각했다.[3] 그 해 가을, 노는 이 사건으로 인해 기를 공격했다.[3]

기원전 629년, 진 문공은 노에게 사이의 영토를 주었는데, 이는 조 공공을 전쟁에서 포로로 잡은 후 3년 전에 강제로 포기하게 한 것이라고 《공양전》에 기록되어 있다.[3] 태자 수가 진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문공에게 감사를 표했다.[3]

기원전 627년, 노는 두 번 주를 공격했다.[3] 첫 번째 공격은 여름에 희공이 직접 이끌었다.[3] 주는 경계가 늦어 희공이 12년 전 성형(升陘)에서의 패배를 복수하기 위해 질루(訾婁)라는 도시를 점령할 수 있었다.[3] 두 번째 공격은 가을에 태자 수가 이끌었다.[3]

3. 2. 3. 사망

기원전 627년, 희공이 사망하였고, 그의 아들 태자 흥(興)이 뒤를 이었다. 흥은 노 문공으로 알려져 있다.[5]

4. 연표

노 희공1년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10년
기원전 659년기원전 658년기원전 657년기원전 656년기원전 655년기원전 654년기원전 653년기원전 652년기원전 651년기원전 650년
노 희공11년12년13년14년15년16년17년18년19년20년
기원전 649년기원전 648년기원전 647년기원전 646년기원전 645년기원전 644년기원전 643년기원전 642년기원전 641년기원전 640년
노 희공21년22년23년24년25년26년27년28년29년30년
기원전 639년기원전 638년기원전 637년기원전 636년기원전 635년기원전 634년기원전 633년기원전 632년기원전 631년기원전 630년
노 희공31년32년33년colspan="8" rowspan="3"|
기원전 629년기원전 628년기원전 627년


참조

[1] 서적 Zuo Zhuan
[2] 간행물 《鲁颂·駉》篇与周礼的关系及其文化意义.
[3] 서적 Zuo Tradition/Zuozhuan: Commentary on the "Spring and Autumn Annals"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6
[4] 문서 『春秋左氏伝』僖公三十三年十二月乙巳条による。
[5] 서적 사기 권33 노주공세가제3
[6] 문서 《사기》 노주공세가에서는 희공을 민공의 아우라고 했으나, 《춘추좌씨전》에서는 하보불기가 희공의 신주를 민공의 신주 위로 올린 역사(逆祀)를 자행하면서 희공을 큰 분, 민공을 작은 분이라고 했고, 두예는 주석을 달면서 희공을 민공의 형이라고 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